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시장 동향

[주택시장동향] 21년 11월 2주차 (기준일:11/8)

by 월천따박 2021. 11. 14.

강세를 보이던 인천 아파트가격 상승 완화(매매 0.26%, 전세 0.15% 상승)

- 경기도(0.27%)와 서울(0.19%)도 매매가격 상승세 전주 대비 완화 추세

- 수도권 전세가격은 지난주 상승세와 유사 [0.20%(10/25)→0.19%(11/1)→0.18%(11/8)]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이 발표한 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서울은 중 동대문구(0.38%), 서초구(0.37%), 경기도에서는 이천(0.86%), 의왕(0.72%)이, 인천에서는 중구(0.87%), 남동구(0.45%), 등 일부 지역이 높은 상승을 보였다. 인천은 전주 대비 매매 0.26% 상승으로 지난주 변동률 0.54%보다 낮아졌다. 경기도는 전주 대비 0.27% 상승을 기록하며 상승세가 소폭 완화되고 있다. 경기도 전세는 변동률 0.19%로 지난주(0.16%) 상승세보다 조금 높아졌다. 서울 아파트 상승률은 매매 0.19%(전주 0.22%), 전세 0.17%(전주 0.22%)로 지난주보다 완화됐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매수자보다 매도자의 관심이 더 높은 비중을 보이면서 기준점인 100 아래인 68.6을 기록했다.

※ 인천 아파트 주간변동률

매매 : 0.60%(10/18)→0.60%(10/25)→0.54%(11/1)→0.26%(11/8)

전세 : 0.38%(10/18)→0.24%(10/25)→0.21%(11/1)→0.15%(11/8)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서울은 전주 대비 0.19%를 보였고, 경기도는 0.27%를 기록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22%)는 광주(0.43%), 대전(0.35%), 부산(0.22%), 울산(0.08%), 대구(0.03%) 모두 상승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2%를 기록했으며, 지역별로는 제주(0.72%), 강원(0.69%), 충남(0.49%), 충북(0.4%), 전북(0.29%), 경남(0.24%), 경북(0.19%), 전남(0.11%)이 상승했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17%의 변동률을 보였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4%)에서는 광주(0.24%), 대전(0.17%), 부산(0.14%), 대구(0.08%), 울산(0.05%)이 상승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26%)의 전세가격은, 충남(0.34%), 경북(0.33%), 강원(0.33%), 경남(0.28%), 전북(0.24%), 충북(0.21%), 전남(0.07%)이 상승했다.

 

[매매 서울] 전주대비 0.19% 상승하면서 지난주 변동률 0.22%보다 상승세 완화 중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19% 상승하면서 지난주 상승세보다 계속 완화되고있다(0.25%(10/25)→0.22%(11/1)→0.19%(11/8)). 동대문구(0.38%), 서초구(0.37%), 중랑구(0.36%), 강동구(0.33%), 강서구(0.29%)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다.

 

[매매 경기·인천] 경기도는 전주대비 0.27% 상승, 인천은 0.26%로 상승 완화

 

경기는 전주대비 0.27%를 기록하며 상승세가 완화 중이다(0.50%(10/18)→0.36%(10/25)→0.28%(11/1)→0.27%(11/8)). 이천(0.86%), 의왕(0.72%), 파주(0.67%), 안산 단원구(0.64%), 양주(0.61%) 등이 높게 상승했다. 인천(0.26%)은 중구(0.87%), 남동구(0.45%), 동구(0.44%), 계양구(0.31%), 미추홀구(0.26%) 등이 상승했다.

[전세 전국] 전세가격 전주 대비 0.19% 기록하며 지난주 변동률 0.20% 보다 축소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0.18%)도 전주 대비 상승을 보였다. 서울은 0.17%를 기록하며 지난주의 변동률(0.22%)보다 낮아졌다. 경기도는 전주 대비 0.19% 상승을 기록했다. 5개 광역시에서는 광주(0.24%), 대전(0.17%), 부산(0.14%), 대구(0.08%), 울산(0.05%) 모두 상승했다.

 

[전세 서울] 전세가격 변동률 0.17%로 지난주 변동률(0.22%)보다 낮아졌다.

 

서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17%를 기록하며 지난주 변동률 0.22%보다 상승세가 완화됐다. 서대문구(0.61%), 종로구(0.56%), 구로구(0.4%), 양천구(0.32%), 강서구(0.32%)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하락지역은 없다.

 

[전세 경기·인천] 경기 0.19% 상승, 인천은 0.15%로 지난주 상승폭보다 축소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을 기록했고, 인천(0.15%)은 지난주 변동률(0.21%)보다 축소됐다. 경기도에서는 파주(0.80%), 이천(0.49%), 구리(0.45%), 안산 단원구(0.44%), 하남(0.42%)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했고, 인천에서는 중구(0.90%), 미추홀구(0.28%), 계양구(0.26%), 남동구(0.26%), 연수구(0.04%) 등이 상승했다.

 

 

[매수자·매도자 동향지수] 서울 68.6으로 지난주 74.0보다 하락. 기준점인 100보다 낮은 수치로 매수자의 관심이 줄고 매도자 비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주(74.0)보다 하락한 68.6을 기록했다. 인천(78.6)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광주가 113.4로 가장 높다. 부산 70.6, 대전 65.5, 울산 55.7, 대구 37.1로 100 미만의 ‘매도자 많음’ 시장을 보이고 있다.

 

주) 매수우위지수 = 100 + "매수자 많음" 비중 - "매도자 많음" 비중 (조사 항목: 매수자 많음, 비슷함, 매도자 많음)

- 매수우위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

 

댓글